작가들이 흔히 작가 지망생들에게도 먼저 전자책을 내라고 추천한다. 이것은 번역가 지망생들도 마찬가지다. 일단 저작권에서 자유로운 퍼블릭 도메인 즉, 고전 작품 중에서 적절한 분량의 좋은 작품이 있는지 찾아보고 번역을 한 후에 출판사를 알아보고 출판사를 찾지 못하면 일단 전자책으로라도 출간해 보기를 권한다. 그리고 경험상 처음 출간하는 경우 조건은 출판사에 일임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분량은 원고지 700매 정도만 되면 편집에 따라 200페이지 정도의 책이 나올 수 있다. 그리고 전자책만으로 충분하다고 하는 경우라면 아주 작은 단편 소설 분량이라도 출간이 가능하다. 가격만 맞추어 책정하면 된다.
간혹 출판 카페에서 보면 종이책에만 집착하시는 분들이 있다. 종이책이 아니면 책이 아닌 줄로 아는 분들이 있는데 요즘 전자책이 전국 대학교나 기관 등 안들어가는 곳이 없다. 내 경우에 역서 중 몇 권은 판권이 필요없는 퍼블릭 도메인을 번역한 것이다. 오래 전에 출판사에서 종이책으로 출간되었는데 이후에 출판사가 문을 닫았고 제가 전자책으로 만들어 유페이퍼에 올렸다. 유페이퍼는 아는 것처럼 전자책 제작 및 유통 회사다. 유통도 잘 하는 편이고 정산도 비교적 정확하다. 그리고 유페이퍼툴을 다루는 것도 비교적 간단하고 바로 그 곳에 올리면 된다.
전자책은 e-pub이나 pdf 툴로 본인이 직접 만들 수 있다. 나는 전자책 몇 권을 유페이퍼에만 올려놓았었는데 그 곳의 전자책 판매 다운로드 횟수는 약 타이틀당 약 100회 정도다. 종이책에 비하면 당연히 많지 않지만 그래도 전혀 안팔리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나 말고도 그렇게 하는 사람을 본 적이 있다. 고전 작품이 성공한 또 다른 예로 내가 번역한 것은 아니지만 작년 말에 발자크의 “미지의 걸작” 이라는 책이 나온 적이 있다. 알라딘 조회를 해보시면 알겠지만 적어도 제법 팔린 것으로 보인다. 양장본 208p의 책인데 대략 원고 700매 전후 분량이다. 핵심은 작품이다. 직접 작품을 선택하여 번역해보고 책을 내는 출판사의 입장이 되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
이것조차 부담스러우면 지향점이 같은 동료와 나누어 번역하여 서로 문장을 봐주면 번역 부담도 크지 않을 것이다. 이것의 일차적 목적은 번역과 원서 읽기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전자책 출간은 이후에 여러 가지 면에서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이용하여 자신을 홍보할 수도 있다. 요컨데 전자책은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는 분이라면 소모하는 에너지에 비해 수익성이 크지 않아 권하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예비 번역가라면 여러가지 목적으로 처음에 한번 정도는 시도해 볼만하다.
'번역가의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판 번역가가 되는 3가지 방법 (0) | 2019.04.13 |
---|---|
번역 판권 문제 (0) | 2019.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