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 우리에게 정보의 바다에 몸을 담그게 하고 전 세계인들과 소통이라는 화려한 세계의 문을 열었지만 그 이면에 ‘인터넷 트롤“들이 판을 치는 어두운 뒷골목도 만들었습니다. 인터넷 트롤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조금 생소한 용어일지 모르지만 사이버상에서 익명으로 악성 댓글을 달아 타인을 모욕하고 공격하는 재미로 사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흔히 악플러 라고 불리는 부류입니다.
그들은 자기 과시, 냉소, 빈정거림, 비하, 폄하, 욕설, 성차별 등의 무차별적인 공격으로 네티즌들에게 짜증을 유발합니다. 인간의 이런 언어적 공격성은 오래 전부터 인간의 DNA 속에 코드화되어 있었습니다. 아주 오랜 옛날 우리 종의 그런 비열하고 찌질한 행동이 인간에게 물리적 충돌을 피하게 함으로서 인간의 생존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악플러들은 어떤 유형의 사람들일까요? 특이한 행동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받는 것을 즐기는 소위 “관심 종자”들도 있고 정서적 공감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도 있고 타인을 이용하고 조종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도 있고 남의 고통에서 쾌감을 얻는 새디스트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부류들에게 나타나는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나르시시즘에 바탕을 둔 자기 과신, 즉 근거없는 자신감이 강하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신이 대단한 존재임을 떠벌리고 싶어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네티즌들은 인터넷 트롤이 나타나면 “저 악플러 근자감 쩐다.”라고 흔히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들은 소위 더닝과 크루거가 실험으로 밝혀낸 “무지해서 용감하며 자신의 능력을 과대 평가하는 부류”입니다. 달리 이 말은 악플러 행위가 고질적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앞으로도 잘 고쳐지지 않을 것이라는 뜻입니다.
자기 과신의 나르시시즘이라고 했는데 그것 역시 인간의 긍정적인 특성이 아니지만 역사상 유용한 때가 있었습니다. 역사 속에서 위험을 감수했지만 운이 좋았던 인간들의 유전적 흔적이 발견되었습니다. 우리 인체에는 도파민을 언제 어떻게 방출할 것인지 결정하는 데 관여하는 DRD4라는 유전자가 있는데 인간의 20%정도는 DRD4의 변종인 DRD4-7R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이 변종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이 특히 근거없는 자신감이 강하고 무모한 경향성이 있었습니다. 우리 인간의 20% 정도가 그렇다는 말이죠. 그런데 이 변종 유전자가 출현한 것은 인간이 안전한 거주지를 떠나 바다 건너 더 좋은 곳이 있는지 알아보기로 결정했던 시기와 때를 같이했습니다. 그 덕분에 호모 사피엔스가 위험을 무릅쓰고 전 세계로 퍼져나갈 수 있었습니다. 인간의 역사에 도움이 된 거죠.
이런 자기 과신이 인간에게 모험을 하게 하지 않았다면 크리스토퍼 콜롬부스가 아메리카를 발견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입니다. 또 치열한 생존 경쟁 속에서 주인 없는 자원을 쉽게 손에 넣지도 못했을 것입니다. 싸우면 누가 이길지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속된 말로 근거없는 자신감으로 “내 이두박근 보이지?”라고 기선 제압을 하면 때로 치명상을 입었다고 해도 비교적 높은 승산으로 원하는 것을 얻었고 이것은 그들을 배불리 먹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자기 과신은 역사에서 운좋게 좋은 결과로 이어졌을 때가 있었다고 해도 그렇지 않은 때가 더 많았습니다. 이것은 전쟁을 일으켜 문명을 파괴하는 데 일조하거나 주식 시장이나 사업 세계에서 위험을 감수하게 만들어 인간을 망치는 데 한몫을 했습니다. 주변에서 고위험 고수익 투자에 올인하여 재산을 탕진하거나 사업을 시작하면서 자신만큼은 성공할 것이라는 자기 과신으로 집안을 풍비박산내는 경우를 누구나 한번쯤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들이 이제 인터넷상에서 공격의 르네상스 시대를 열었습니다. 사이버상의 공격은 감수할 위험이 그렇게 크지도 않습니다. 그들이 활개를 치기에 딱 좋은 조건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인터넷의 익명성 뒤에 숨어 자기 과시를 즐기고 타인을 공격해 상처를 입히고는 마치 전쟁터에서 승리한 것처럼 쾌감과 희열을 맛봅니다. 그들에게 인터넷은 흥미로운 놀이터입니다. 그것이 악플러들이 하루종일 컴퓨터 앞에 죽치고 앉아 사이버 세계에서 타인을 공격하는 이유입니다. 실제 세계에서는 한대 얻어맞을지 모르니 몸을 사리면서 말입니다. 어쩌면 그들은 가려진 커튼 뒤에서 대단한 존재인 척 하지만 정체를 알고 보면 보잘 것 없는 오즈의 마법사 같은 존재일지도 모릅니다. (이 내용은 로버트 에반스의 “나쁜 짓들의 역사”를 참조했습니다.)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자에게 있어 남자 친구와는 다른 여자 친구의 의미 2 (0) | 2019.04.08 |
---|---|
여자에게 남자친구와는 다른 여자 친구의 의미 1 (0) | 2019.04.06 |